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과 임베딩 모델을 이용한 일본 과학기술정책 의제 변화 분석
초록
일본 과학기술기본계획은 일본 과학기술정책의 주요 키워드 및 정책의 변화를 거시적인 관점에서 파악할 수 있는 정책 텍스트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일본 ‘과학기술기본계획’과 ‘과학기술・이노베이션기본계획’을 대상으로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과 임베딩 모델을 이용하여 텍스트 네트워크 구조를 밝히고, 정책의제의 변화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자연어로 작성되어있는 일본 과학기술정책 텍스트를 텍스트 네트워크로 구축하고, 중심성 및 코사인 유사도를 계산한 뒤 분석한다.
분석결과, 중심성이 높은 주요의제가 시기별로 변화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각 기간마다 정책의 주요 의제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시사한다. 그리고 정보통신기술과 관련된 용어들은 최근 기본계획에서 ‘사회’와의 코사인 유사도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텍스트 분석을 통해 일본의 최근 과학기술기본계획이 ‘사회’와 정보통신기술의 조화를 강조하며 ‘Society 5.0’ 개념을 추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The Science and Technology Basic Law in Japan establishes the fundamental framework for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Japan formulates Science and Technology Basic Plan in accordance with this law. The Science and Technology Basic Plan is a policy text that allows for a macroscopic understanding of the major keywords and changes in Japan’s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ain the text network structure of Japan’s Science and Technology Basic Plan using text network analysis and text embedding models, as well as to analyze changes in the policy agenda. Japan’s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documents written in natural language are constructed as text networks in this paper, and centrality and cosine similarity are calculated.
It can be observed that important policy agendas are changing over time when analyzing the text network structure in Japan’s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This indicates the diversity of key policy issues in each period. Moreover, terms related to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 recent basic plans have shown increased cosine similarity to ‘society.’This result confirms that Japan’s recent Science and Technology Basic Plan emphasizes the harmony between ‘society’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pursuing the concept of ‘Society 5.0.’
Keywords:
Japan’s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text network analysis, science and technology basic plan, text embedding model, natural language processing키워드:
일본 과학기술정책,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텍스트 임베딩 모델, 과학기술기본계획, 자연어처리References
- 고기동. (2019). 아이디어와 정책선택에 관한 경험적 연구: 경제정책의 변화를 중심으로. 「행정논총」, 57(3): 89-115.
- 고기동・이은미. (2022). 코로나19 위기와 정책아이디어 전환: 정책아이디어 변화 궤적과 탈경로에 관한 비교 분석. 「행정논총」, 60(1): 1-25.
- 고길곤. (2007). 정책네트워크 연구의 유용성과 사회연결망 이론 활용 방법의 고찰. 「행정논총」, 45(1): 138-164.
- 김민호・윤호열・최상옥. (2021). 인공신경망 기반 자연어처리를 적용한 연도별 정책내용 변화 분석에 관한 연구: 일본 IT신전략 (2018-2020)을 대상으로. 「정보통신정책연구」, 28(1), 1-27.
- 김옥일. (2008). 교육행정정보화 정책네트워크 구조 변화에 관한 연구: 사회연결망 분석의 적용. 「행정논총」, 46(2): 255-279.
- 김찬우. (2019). 국민 청원 데이터를 통해 본 주요 개혁 이슈.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9(2): 823-832.
- 김학실. (2012). 여성정책변동과 연구경향 분석: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46(2): 241-264.
- 김희수・김재현・황인서・이동훈・최원석. (2021).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항공우주산업 분야 과학기술의 연구 동향 분석. 「한국항공경영학회지」, 19(4): 27-45.
- 김희철・한수미. (2020). 온라인 크라우드소싱 플랫폼 데이터의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도시계획 정책이슈 도출. 「기술혁신학회지」, 23(6): 1159-1182.
- 남성욱・백연주. (2022). 북한의 ICT 발전전략의 미래경향성에 관한 연구: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중심으로. 「평화학연구」, 23(3): 67-93.
- 박주섭・홍순구. (2016).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부산시 지역혁신정책 동향분석. 「지방정부연구」, 20(1): 1-20
- 박주섭・홍순구・김종원. (2017).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과학기술동향 및 예측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22(4): 19-28.
- 박주섭・김나랑・한은정. (2018).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과학기술동향 분석.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23(2): 63-73.
- 박치성・신나리. (2021).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역대 대통령의 정책변화 분석. 「한국정책과학학회보」, 25(4): 1-33.
- 신승윤・최한별・김동욱. (2021). 지방정부의 공공데이터 내용 분석: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분석결과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 30(2): 129-171.
- 연지현・김성원. (2022).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경제정책기록서비스 연구: 경제정책방향을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22(2): 117-133.
- 윤호열・김민호・최상옥・박근우. (2020). NTIS 국가연구개발사업 정보를 활용한 지역 과학기술 연구동향 분석: 충남 지역 NTIS 데이터를 중심으로. 「기술경영」, 5(4): 21-44.
- 이가영. (2020). 김정은 시기 북한 경제정책의 변화경향성 연구: 텍스트마이닝 분석을 중심으로. 「동북아경제연구」, 32(1): 27-54.
- 이수정・박광국. (2022). 음악공연권 정책변동과정에 대한 시론적 연구: 옹호연합모형(ACF)과 사회연결망분석(SNA)의 적용. 「행정논총」, 60(1): 133-166.
- 이은미・김동욱・고기동. (2016). 비정형 데이터 분석의 제도변화 적용에 관한 연구: 개인정보보호 제도를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20(2): 217-240.
- 이주영・정효정. (2017). 한국 과학기술계 기술혁신 논의의 흐름과 변화: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의 과학과 기술을 중심으로, 1968-2017. 「기술혁신학회지」, 20(4): 1015-1035.
- 임강희・강경환. (2023).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중국의 핵심 과학기술 확보 동향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4(4): 228-233.
- 임강희・최현주・강경환. (2023). 중국공산당 주요 보고서 분석을 통한 중국 과학기술 발전방향 연구: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4(7): 317-324.
- 임봉조. (2022).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TNA) 방법을 활용한 초등돌봄교실 연구동향 분석. 「종교교육학연구」, 70: 47-67.
- 황한찬・엄석진. (2018). 한국의 고도성장기의 산업정책 네트워크 분석: 수출진흥확대회의와 월간경제동향보고회의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52(4): 557-588.
- 황한찬・엄석진. (2019). 소셜미디어 활용을 통한 지방행정의 반응성 개선: 성남시의 트위터 활용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53(4): 243-273.
- 황한찬・엄석진. (2021). 지방정부에서 전자청원 시스템의 효과성: 서울시 전자청원과 서면 청원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55(3): 321-350.
-
Alves, Ana C., & Lee, Su-Hyun. (2022). China’s BRI developmental agency in its own words: A content analysis of key policy documents. World Development, 150: 1-13.
[https://doi.org/10.1016/j.worlddev.2021.105715]
-
Bavelas, Alex. (1950). Communication Patterns in Task‐Oriented Groups.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22(6): 725–730.
[https://doi.org/10.1121/1.1906679]
-
Bengtsson, Mariette. (2016). How to plan and perform a qualitative study using content analysis. NursingPlus Open, 2: 8-14.
[https://doi.org/10.1016/j.npls.2016.01.001]
-
Guo, Meng., Li, Qingyang., Wu, Chenyang., Vine, Scott L., & Ren, Gang. (2023). Content analysis of Chinese cities’ Five-Year Plan transport policy documents. Case Studies on Transport Policy, 13: 1-13.
[https://doi.org/10.1016/j.cstp.2023.101055]
-
Herrero-Solana, Víctor., & Faba-Pérez, Cristina. (2023). European Patent Office (EPO) en Twitter: A content analysis. World Patent Information, 74: 1-5.
[https://doi.org/10.1016/j.wpi.2023.102213]
-
Liao, Zhongju. (2018). Content analysis of China’s environmental policy instruments on promoting firms’ environmental innovation. Environmental Science & Policy, 88: 46-51.
[https://doi.org/10.1016/j.envsci.2018.06.013]
-
Peng, Huatao., & Liu, Yang. (2016). A comprehensive analysis of cleaner production policies in China.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135(1): 1138-1149.
[https://doi.org/10.1016/j.jclepro.2016.06.190]
-
Saheb, Tahereh., & Saheb, Tayebeh. (2023). Topical review of artificial intelligence national policies: A mixed method analysis. Technology in Society, 74: 1-14.
[https://doi.org/10.1016/j.techsoc.2023.102316]
-
Saraisky, Nancy G. (2015). Analyzing Public Discourse: Using Media Content Analysis to Understand the Policy Process. Current Issues in Comparative Education, 18(1): 26-41.
[https://doi.org/10.52214/cice.v18i1.11526]
- Mikolov, Tomas., Chen, Kai., Corrado, Greg., & Dean, Jeffrey. (2013). Efficient Estimation of Word Representations in Vector Space, arXiv preprint arXiv:1301.3781, 1-12.
-
Weber, Robert P. (1990). Basic Content Analysis, 2nd Ed. CA: SAGE Publications.
[https://doi.org/10.4135/9781412983488]
-
赤池伸一. (2019). 科学技術政策の歴史と今後の課題: -次期科学技術基本計画の策定に向けて. 情報の科学と技術, 69(8): 358-363.
[https://doi.org/10.1515/jurbuero-2018-690714]
- 研究開発戦略センター. (2022). 日本の科学技術・イノベーション政策. 東京: 研究開発戦略センター.
- 小林信一・赤池伸一・林隆之・富澤宏之・調麻佐志・宮林正恭. (2019). 科学技術基本計画の変遷と次期への展望. 研究技術計画, 34(3): 190-215.
- 内閣府. (1996). 第1期科学技術基本計画 本文.
- 内閣府. (2001). 第2期科学技術基本計画 本文.
- 内閣府. (2006). 第3期科学技術基本計画 本文.
- 内閣府. (2011). 第4期科学技術基本計画 本文.
- 内閣府. (2016). 第5期科学技術基本計画 本文.
- 内閣府. (2021). 第6期科学技術・イノベーション基本計画 本文.
-
水間英城. (1996). 科学技術基本法について. 情報管理, 38(12): 1080-1093.
[https://doi.org/10.1241/johokanri.38.1080]
-
科学技術基本法. (공포 1995.11.5., 법률 제130호).
[https://doi.org/10.1177/026666699509110302]
- 科学技術基本法等の一部を改正する法律. (공포 2020.6.24., 법률 제63호).
-
科学技術・イノベーション基本法. (개정 2020.6.24., 법률 제130호).
[https://doi.org/10.18485/slavistika.2020.24.1.11]
-
内閣府設置法. (공포 1999.7.16., 법률 제89호).
[https://doi.org/10.1016/S0961-9534(98)00086-5]
- 일본 내각부정책 과학기술・이노베이션(https://www8.cao.go.jp/cst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