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공기관 종사자의 공공성 인식유형 연구: Q 방법론을 활용하여
초록
본 연구는 기존에 논의되어왔던 공공성 담론에서 더 나아가 개인의 주체적 인식에 기반한 공공성 유형과 특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그 어느 집단보다 공공적 가치가 기대될 수 있는 공공기관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이 인식하는 공공성 인식 유형화가 우리 사회에 시사하는 공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개인의 주체성을 계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Q 방법론을 활용하였다. 구체적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공공성에 대한 인식은 크게 3가지 유형으로 구분되는데, 제Ⅰ유형은 ‘절차적 공정성에 기반한 공공성’, 제Ⅱ유형은 ‘숙의에 기반한 공공성’, 제Ⅲ유형은 ‘공리주의에 기반한 공공성’으로 각각 명명하였다. 각 유형은 공공성을 인식하는 데 있어 과정적 측면, 성찰과 숙의적 측면, 공익적 측면을 강조하는 것이다. 이 같은 유형화는 개념적 함의에 따른 공공성 담론과는 상이한 내용적 속성을 나타내는데, 개인의 주체성을 반영한 공공성에 대한 사회적 지향가치를 보다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공공정책의 세부 사항에 유용한 사회적 함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This paper goes further than the previously discussed publicness discourse and seeks to examine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publicness based on an individual’s subjective perception. Specifically, we aim to derive public interest implications for our society by targeting employees in public enterprises who can expect more public value than any other occupational groups, and typifying their perceived publicness. For this purpose, we used the Q methodology, which can quantitatively understand an individual’s subjectivity. The specific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perception of publicness is largely divided into the three types. Type I was named ‘Publicness based on procedural fairness’, Type II was named ‘Publicness based on deliberation’, and Type III was named ‘Publicness based on utilitarianism’. Respectively, each type of publicness emphasizes the process aspect, the reflection and deliberation aspect, and the public interest aspect in recognizing publicness. This typification exhibits different content properties from the discourse of publicness according to conceptual implications, thus allowing a clearer understanding of the social orientation value of publicness that reflects an individual’s subjectivity and providing useful social implications in the field of public policy.
Keywords:
publicness, publicness perception, employees in public enterprises, Q methodology키워드:
공공성, 공공성 인식, 공공기관 종사자, Q 방법론References
- 김도영・배수호. (2016). 현대사회에서 유교적 공공성(儒敎的 公共性)의 적용가능성 연구. 「한국행정학보」, 50(3): 249-275.
- 김순은. (1999). Q 방법론의 이론적 배경과 비판적 고찰. 「정책분석평가학회보」, 9(2): 201-216.
- 김순은. (2007). 영국 지방정부의 성과관리-성과관리 정책의 관점에서. 「한국거버넌스학회보」, 14(2): 115-149.
- 김순은. (2010). Q 방법론의 이론과 철학.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0(4): 1-25.
- 김정훈・이동규. (2021). Q방법론을 활용한 정책기업가 전략에 대한 주관적 인식유형 연구. 「행정논총」, 59(2): 237-266.
- 김필. (2017). 사회적 자원배분의 공정성 인식이 국가 소속감에 미치는 영향: 협업 행정을 조절변수로.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김흥규. (1990). 「Q 방법론의이해와적용」. 서강대 언론문화연구소.
- 김흥규. (2008). 「Q 방법론: 과학철학, 이론, 분석 그리고 적용」.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 김흥규・오세정. (2008). 제3의 공간으로서의 카페: 스페이스 마케팅의 관점. 「주관성 연구」, 93-120.
- 김흥규・오세정. (2011). SNS 이용자들의 심리적 유형: 새로운 커뮤니케이션의 가능성을 향해. 「주관성 연구」, 22: 161-177.
- 김흥규・최준환. (2009). 온라인 광고 이용자 인식 유형에 관한 연구. 「광고학연구」, 20(2): 153-181.
- 김동규. (2022). 공공예술의 미학과 임계적 공공성. 「철학연구」, 27-58.
- 김선경. (2020). Q 방법론을 활용한 시민성 인식유형 연구.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30(4): 51-70.
- 김선경・박정민(2018), Q 방법론을 활용한 공공성 인식유형 연구,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9(1): 1-21.
- 김선경・박정민. (2020). Q 방법론을 활용한 공동체 주택 인식유형 연구: 대전광역시 꿈꿀통을 중심으로. 「정책분석평가학회보」, 30(1): 1-24.
- 박현정・김휘경. (2022). 사춘기 자녀와 대화에 관한 부모의 인식 연구: Q 방법론 활용. 「주관성 연구」, 61: 23-43.
- 배수호・김도영. (2014). 유학(儒學)에서의 공공성 논의 행정학 맥락에서 이해하기. 「한국행정학보」, 48(3): 75-98.
- 배수호・홍성우. (2020). 공사관(公私觀) 이해를 위한 통합적 개념틀 탐색과 적용: 제자백가 사상을 중심으로. 「행정논총」, 58(2): 139-172.
- 배수호・최태현. (2021). 공공성 논의의 지평 확대: 타 학문과의 대화. 「한국행정학보」, 55(4): 1-3.
- 백민정. (2022), 정약용의 公私 관념과 정치 공공성의 문제. 「민족문화연구」, 97: 241-273.
- 백완기. (2007). 한국행정과 공공성.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18(2): 1-22.
- 소영진. (2003). 행정학의 위기와 공공성 문제. 「정부학 연구」, 9(1): 5-22.
- 소영진. (2008). 공공성의 개념적 접근. 윤수재・이민호・채종헌(공편). 「새로운 시대의 공공성 연구」. 서울: 법문사. 32-63.
- 임의영. (2010). 공공성의 유형화. 「한국행정학보」, 44(2): 1-21.
- 임의영. (2022). 공공성의 철학적 기초: I. Kant의 사상을 중심으로. 「정부학연구」, 28(2): 1-28.
- 임의영. (2023a). 공공성의 사상적 기초: K. Marx의 소외론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27(1): 37-57.
- 임의영. (2023b). 공공성의 정치철학적 기초: N. Machiavelli 의 권력관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57(4): 1-28.
- 정정길. (2022). 정책의 대의제적 민주성, 행정의 정치적 중립과 공익수호 역할. 「행정논총」, 60(2): 1-35.
- 정지양・김용희・김은경・유순화. (2021). Q 방법론을 활용한 코로나19 상황에서의 대학생 스트레스 유형화. 「청소년학연구」, 28(10): 427-451.
- 조한상. (2009). 기본권의 성격: 주관적 성격과 객관적 성격. 「법학논총」, 21: 225-248.
-
Barber, B. (2003), Strong Democracy: Participatory Politics for A New Age. Oakland,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https://doi.org/10.1525/9780520351912]
- Benn, S. I., & Gauss, G. F. (1983). Public and Private in Social Life. New York: St. Martin’s Press.
- Brown, S. R. (1980). Political Subjectivity. New Haven, CT: Yale University Press.
-
Haque, M. S. (2001). The diminishing publicness of public service under the current mode of governance.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61(1): 65-82.
[https://doi.org/10.1111/0033-3352.00006]
- Harvey, O. J. (1997). Beliefs, knowledge, and meaning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ceiver. In McGarty, C., & Haslam, S.A. (Ed.), The Message of Social Psychology. Oxford: Blackwell.
-
Kaul, I. (2005). Private provision and global public goods: Do the two go together?. Global Social Policy, 5(2): 137-140.
[https://doi.org/10.1177/146801810500500203]
- McGarty, C., & Haslam, S. A. (2003). Research Methods and Statistics in Psychology. Thousand Oaks, CA: Sage.
-
McKeown, B., & Thomas, D. (1988). Q Methodology. Newbury Park, CA: Sage.
[https://doi.org/10.4135/9781412985512]
-
Moulton, S. (2009). Putting together the publicness puzzle: A framework for realized publicness.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69(5): 889-900.
[https://doi.org/10.1111/j.1540-6210.2009.02038.x]
-
Pesch, U. (2008). The publicness of public administration. Administration & Society, 40(2): 170-193.
[https://doi.org/10.1177/0095399707312828]
- Rogers, S. R. (1995). Q methodology. In Smith, J.A., Harre, R., & Van Langenhove, L. (Ed.), Rethinking Methods in Psychology. Thousand Oaks, CA: Sage.
-
Stephenson, W. (1936). The inverted factor technique.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26: 344-61.
[https://doi.org/10.1111/j.2044-8295.1936.tb00803.x]
-
Stainton, R. J. (1995). Non-sentential assertions and semantic ellipsis. Linguistics and Philosophy, 18: 281-296.
[https://doi.org/10.1007/BF00985446]
-
Watts, S. (2015). Develop a Q methodological study. Education for Primary Care, 26(6): 435-437.
[https://doi.org/10.1080/14739879.2015.1101855]
-
Watts, S., & Stenner, P. (2012). Doing Q Methodological Research: Theory, Method and Interpretation. Thousand Oaks, CA: Sage.
[https://doi.org/10.4135/9781446251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