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의 농업과학기술 ODA 정책방향: Feed the Future Initiative의 시사점
초록
우리나라는 외교부(KOICA), 농촌진흥청, 농림축산식품부를 중심으로 농업과학기술 ODA를 추진중이다. 특히, 농촌진흥청은 지난 15년간 아시아・아프리카・중남미의 여러 개도국에서 사업의 효과성을 입증해 왔으며, 일부 성과는 국제사회의 모범사례로 선정되는 등 국격제고에도 기여하고 있다. 하지만 선진공여국들에 비해 소규모 위주 사업, 농업 ODA예산의 한정성, 접근범위와 참여기관의 제한성, 상대적으로 미흡한 국제기관・민간분야 협력, 통합적・체계적 ODA 전략 부재 등의 개선사항이 사업초기부터 반복 제기되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본 연구는 선진공여국 미국의 농업과학기술 ODA정책을 Feed the Future Initiative(FTF) 사례를 통하여 살펴보고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미국은 풍부한 원조자금과 양・질적으로 최고 수준의 과학기술력, 탄탄한 사회・경제적 인프라를 바탕으로 세계 최대 농업국가인 자국의 특성과 이익에 걸맞는 농업과학기술 ODA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국제농업연구협력체와 원활한 공조, 활발한 국내・외 대학들과의 연구협력, 폭넓은 민간참여, 정교한 농업과학기술 ODA전략 수립 등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미국적 특성이 우리나라 현실과 직접 비교가 될 수 없겠으나, 향후 농업 ODA의 양・질적 성장을 추구하려는 정책기조에 따라 농업과학기술 ODA의 방향성을 찾는데는 분명히 도움이 될 것이다.
Abstract
Korea is promoting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ODA centered on KOICA,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and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In particular, RDA has proven the effectiveness of its projects over the past 15 years in various developing countries in Asia, Africa, and Latin America. However, limitations in comparison to advanced donor countries, including improvements such as small-scale projects, limited agricultural ODA budgets, limited access and participatory organizations, relatively insufficient cooperation between international institutions and private sectors, and lack of an integrated and systematic ODA strategy have been repeatedly raised since the beginning of the project.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US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ODA policy through the case of the Feed the Future Initiative (FTF). The United States is promoting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ODA that matches its characteristics and interests as the world's largest agricultural country based on abundant aid funds, the highest quantity and qual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solid socio-economic infrastructure. Specifically, it includes a smooth cooperation system with international agricultural research organizations, active research cooperation with domestic and foreign universities, broad private participation, and establishment of sophisticated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ODA strategies. Although these American characteristics cannot be directly compared to the reality of Korea, they will certainly help determine the direction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ODA in response to the policy stance of promot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growth of agricultural ODA in the future.
Keywords:
agr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ODA, agricultural ODA, feed the futur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키워드:
농업과학기술 ODA, 농업 ODA, Feed the Future, 농촌진흥청Acknowledgments
논문의 발전에 도움을 주신 익명의 심사위원님들께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 관계부처합동. (2014). 「’14년 국제개발협력종합시행계획(안)(확정액 기준)」. 제17차 국제개발협력위원회 의결안건(제17-1호).
- 관계부처합동. (2021a). 「제3차 국제개발협력종합기본계획(2021-2025)」. 제36차 국제개발협력위원회 의결안건(제36-1호).
- 관계부처합동. (2021b). 「’21년 국제개발협력종합시행계획(안)(확정액 기준)」. 제36차 국제개발협력위원회 의결안건(제36-2호).
- 관계부처합동. (2022a). 「’22년 국제개발협력종합시행계획(안)(확정액 기준)」. 제40차 국제개발협력위원회 의결안건(제40-1호).
- 관계부처합동. (2022b). 「다자협력 추진전략(‘22-’26)」. 제43차 국제개발협력위원회 의결안건(제43-2호).
- 관계부처합동. (2022c). 「민간부문 참여 전략」. 제43차 국제개발협력위원회 의결안건(제43-3호).
- 관계부처합동. (2023). 「’23년 국제개발협력종합시행계획(안)(확정액 기준)」. 제44차 국제개발협력위원회 의결안건(제44-1호).
- 김경덕・김정승. (2010). OECD/DAC 가입에 따른 개발도상국 농업기술 지원전략.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김석동 외. (2012). 「대개도국 농업기술협력사업 중장기 추진전략」. (사)글로벌종자포럼.
- 김용택 외. (2018). 「선진공여국 사례조사를 통한 농업 ODA 효과적 정책 마련」. 서울: (사)글로벌발전연구원.
- 김윤두 외. (2016). 아시아농식품기술협력협의체 국제협력사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28(1): 37-48.
- 김윤두 외. (2018). 한-중남미 농식품기술협력협의체 사업에 따른 수원국의 경제적 효과분석.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30(2): 94-101.
- 김종선 외. (2017). 「농업분야 ODA 기술협력사업의 성과제고 방안」.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농림축산식품부. (2013). 「해외 주요국 농업 ODA 체계 및 현황조사(국제기구포함)」. 안양: 농림수산식품정보교육원.
- 농림축산식품부. (2020). 「국제농업협력사업(ODA) 개발효과성 제고를 위한 정책 개선방향」. 나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농촌진흥법. (개정 2021.11.30., 법률 제18531호).
- 농촌진흥청. (2023). 「제3차 농촌진흥사업 기본계획(2023∼2027)」. 공개자료.
- 농촌진흥청. (2024). 「농촌진흥청 농업기술 ODA 사업현황」. 내부자료.
- 박석희・오경석. (2019). KOPIA 공적개발원조사업의 성과: 2014 및 2015년도 종료사업 평가.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31(1): 43-52.
- 박석희・장익현. (2021). 농업개발협력 현황과 농진청 ODA사업 발전전략. 「한국정책학회동계학술발표논문집」, 2021권, 1-37.
- 박예지. (2012). 개발을 위한 민간 참여와 ODA의 역할. 「한국의 개발협력」, 105-119.
- 박정근. (2007). 「농업연구개발정책」. 파주: 박영사.
- 송유천・임정빈. (2012). 「농업분야 개발협력 방안」. 서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 신현기・박석희. (2019). 공적개발원조사업 홍보의 성과와 과제: 농촌진흥청 KOPIA사업에 대한 수원국 매체분석. 「국제개발협력연구」, 11(4): 55-75.
- 이성희・조경래. (2014). 「한국형 ODA모델 중 농림업 분야 국제협력 프로그램의 심화연구-식량작물 생산성 향상」.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장혁. (2023). 미국 농업개발원조 정책 및 시사점: Feed the Future를 중심으로. 「행정논총」, 61(2): 357-389.
- 조동인 외. (2021). 아프리카 농업분야 ODA 사업 성과분석 및 시사점: KOPIA 사례를 중심으로. 「지역연구」, 37(4): 21-32.
- 채용우 외. (2023). KOPIA 케냐센터의 양계 시범사업에 대한 투자효과 분석.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35(3): 197-206.
- 한국정책학회. (2021). 「농촌진흥청 ODA사업성과 확산 핵심전략 및 조직발전 방안」. 농촌진흥청 연구용역 최종보고서.
- 허장・정승은. (2014). 「한국형 ODA모델 중 농림업 분야 국제협력 프로그램의 심화연구-농업기술개발 및 현장지도지원시스템」.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홍승길 외. (2020). KOPIA 필리핀 센터의 벼 종자 생산 및 보급 시범마을사업 효과분석.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32(2): 158-165.
- Mtumbyka 외. (2021). 양자무역에서 국제기술협력의 효과: 한-아프리카 농식품기술협력협의체 사례 중심.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33(1): 29-39.
- Emily M. Morgenstrn & Nick M. Brown. (2022). Foreign Assistance: An Introduction to U.S. Programs and Policy. CRS Report 40123.
- Global Food Security Act of 2016. (PUBLIC LAW 114–195—July 20, 2016).
-
Sauk-Hee Park & Kwang-Min Moon. (2019). The Economic Effects of Research-led Agricultural Development Assistance: The Case of Korean Programs on International Agriculture. Sustainability,11(19): 5224.
[https://doi.org/10.3390/su11195224]
- USAID. (2016a). 「U.S. Government’s Global Food Security Strategy(FY2017-20221)」.
- USAID. (2016b). 「U.S. Government’s Global Food Security Research Strategy(FY2017-2021)」.
- USAID. (2021a). 「U.S. Government’s Global Food Security Strategy(FY2022-2026)」.
- USAID. (2021b). 「U.S. Government’s Global Food Security Research Strategy(FY2022-2026)」.
- 국제농업연구자문그룹 홈페이지(https://www.cgiar.org/, )
- 대한민국 ODA 통합누리집 (https://www.odakorea.go.kr/, )
- 대한민국 정부 정책브리핑. (2023.1.11.).“정부, 2027년까지 농업 ODA 규모 2배 늘린다.”, 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ld=148910427, (검색일: 2024.2.25)
- 동아일보. (2024.4.25.).“지속적인 투자가 농업R&D 혁신 이끈다”, https://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240424/124628164/1, (검색일: 2024.5.13)
- 미국제개발처 홈페이지 (https://www.usaid.gov/, )
- 한경경제용어사전 (https://dic.hankyung.com/, )
- Feed the Future Homepage (https://www.feedthefuture.gov/, )
- Foreign Assistance Dashboard (https://www.foreignassistance.gov/,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