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정학 융합교육에 관한 탐색적 연구: VR을 활용한 교육 및 실험연구 가능성
***교신저자, 동아대학교 석당인재학부 조교수 dnkim@dau.ac.kr
초록
본 연구는 행정학 교육과 연구에 대한 VR 기술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한 연구이다. ICT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VR 기술을 비롯한 다양한 기술을 교육환경에 적용할 기회가 열렸다. 이미 타학문 분야에는 교육뿐만 아니라 실험연구에 이르기까지 VR 기술의 다양한 접목이 이루어지고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교육에서의 VR 기술의 적용 활용 현황과 행정학 교육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였으며, 특히 행정윤리와 딜레마 이론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검토하였다. 그리고 현장에서 VR 기술의 활용에서 주의해야 할 점과 활용 영역 확대를 위한 대학 비교과 프로그램 및 공무원 실무 교육에서의 활용 가능성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행정학에서 실험연구로의 활용 가능성까지 검토한 후 앞으로 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otential applications of virtual reality (VR) technology in public administration education and research. With advancement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VR has emerged as a transformative tool in education across diverse fields. This research explores the feasibility of integrating VR into undergraduate education, professional training, and experimental studies within the discipline of public administration. It focuses particularly on the application of VR in teaching public administration ethics and dilemma theory. Additionally, the study addresses key considerations for implementing VR, including the design of university curricula and public sector training programs. By offering insights into the integration of VR technology, this study contributes to shaping future directions for experimental research and innovative practices in public administration education.
Keywords:
virtual reality, public administration education, experimental method키워드:
가상현실(Virtual Reality), 행정학 교육, 실험방법론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동아대학교 교내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References
- 강황선・남영옥, (2020). 행정학 교육의 교수법에 관한 시론적 연구: 원격수업의 효과성과 교수자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인사행정학회보」, 19(3), 105-135.
- 김기환・김상묵. (2009). 교육중심대학 행정학 교육과정 개발. 「한국행정학회 추계학술대회」.
- 김수영・고은선, (2021). COVID-19 전후 대학의 교수방법 운영 실태 및 혁신교수법에 대한 요구 분석. 「교육혁신연구」, 31(4), 339-362.
- 김주환, (2001). 한국의 행정학 교육수요에 관한 연구: 경기도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10(3), 1-15.
- 김준한, (1995), 행정학 교육의 당면과제와 발전방향. 「대학교육」, 78, 87-91.
- 남충모・김종우・홍경선・조치노・홍주희. (2020). 가상현실 교육에서 학교 급별 교육과정의 특성에 대한 연구.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4(1), 71-78.
- 류창현・장석현. (2020). 조현병 대상자에 대한 경찰관의 초기 대응 가상현실(VR-HMD) 면담교육 매뉴얼 시스템 개발의 함의: 묻지마범죄 예방과 억제 중심으로. 「한국경찰학회보」, 22(1), 1-38.
- 문명재. (2009). 연구중심대학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학생, 교수 그리고 채용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자료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추계학술대회」.
- 박종민. (2009). 행정학은 과학인가 기술인가. 「한국행정학보」, 43(4). 1-18.
- 박종태・김지호・김문영・이정현. (2019).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한 치아발치 교육콘텐츠가 치아발치에 관한 지식, 수행능력 및 실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2), 650-660.
- 박현린・손은남. (2020).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 기술을 기반으로 한 매체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국내 동향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5), 725-741.
- 박현정. (2022). 메타버스를 활용한 대학교육의 연구 동향-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한국웰니스학회지」, 17(4), 207-213.
- 박혜영・주정훈. (2023). 대학교육에서 VR, AR, MR기술 적용의 학습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24(1), 2409-2414.
- 배윤희‧신윤희‧이수정. (2022). 메타버스 활용 수업 운영 및 학습자 인식 연구: 예비대학 물리학 수업을 대상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2(12), 64-76.
- 소요환. (2016). 몰입형 기어 VR 기반 가상현실 학습의 매체적 특성과 교육적 효과와의 관계.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54, 226-237.
- 윤견수. (2016). 공무원들의 공직관과 행정학 교육의 미래, 「한국행정학회 하계학술발표논문집」.
- 이선우. (2006). 행정학 교육내용의 적실성: 상아탑의 딜레마. 「한국행정학회 동계학술발표논문집」.
- 이재병・권난주. (2022). 가상현실(VR) 콘텐츠를 활용한 과학수업이 초등학생의 공간 감각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과학교육연구지」, 46(1), 66-79.
- 이재학・장선희. (2022). 가상현실 안전교육 콘텐츠 제작을 위한 실감형 시나리오 프레임워크 개발.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23(1), 1-9.
- 이종범・안문석・이정준・윤견수. (1992). 정책분석에 있어서 딜레마 개념의 유용성. 「한국행정학보」, 25(4), 3022.
- 임윤진・김어진. (2024). 실감형 콘텐츠를 활용한 중학교 기술과 교수학습 방안 탐색: VR, AR을 중심으로. 「대한공업교육학회지」, 49(1), 63-96.
- 임태형・류지헌・정유선. (2022). 메타버스 학습환경에 사회적 상호작용 여부와 수업유형이 실재감과 흥미발달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학연구」, 28(1), 167-189.
- 정병수・김양현. (2018). 가상현실(VR) 기술의 경찰교육훈련 적용가능성 탐색. 「한국민간경비학회보」, 17(3), 191-214.
- 정연택・이주실. (2008). 사회적 유용성 제고를 위한 행정학 교육에 관한 고찰. 「한국행정사학지」, 23, 55-75
- 제갈욱・최근열・김태영, (2005). 행정학 교육의 과제와 방향: 변화와 지속성. 「한국행정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조경호. (2005). 행정학과 학부 교과과정 분석과 발전 방안 연구. 「한국인사행정학회보」, 4(2), 143-158.
- 조민혁. (2021). 「정책실패에 대한 정부의 비난회피, 인지심리적 대응 전략에 따른 공중의 실패인식 완화효과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조보람. (2023). 국내 대학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연구동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9), 47-57.
- 최성호・원종서. (2018). 가상현실 교육에서 디바이스의 영향: 몰입, 사회적 자의식, 학습동기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1), 487-492.
- 한세억. (2006). 행정학 연구내용의 적실성 소고: 행정학의 정체성 재인식과 지향. 「한국행정학회동계학술발표논문집」.
- 홍해지. (2022). 장애감수성 형성을 위한 박물관・미술관 전문인력 교육 구성요소 타당성 탐색.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황정용・장승수. (2022). 현장 경찰관 사격훈련의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민간경비학회보」, 21(3), 175-196.
- 황한찬・이민상・서동욱・김동욱. (2024). 가상세계에서 공공서비스의 제공 가능성과 평가 방법: 가상현실(VR) 기반 산림 치유 프로그램 사례연구. 「한국행정학보」, 58(1), 29-60.
-
Ahn, S. J., Nowak, K. L., & Bailenson, J. N. (2022). Unintended consequences of spatial presence on learning in virtual reality. Computers & Education, 186, 104532.
[https://doi.org/10.1016/j.compedu.2022.104532]
-
Baldwin, J., Lee, J., Tate, A. D., Okitondo, C. D., Johnsen, K., Schmidt, M. D., ... & Ahn, S. J. (2023). Mediating social support through sensor-based technologies for children’s health behavior change.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28(5), zmad011.
[https://doi.org/10.1093/jcmc/zmad011]
-
Ball, C., Ahn, S. J., & Johnsen, K. (2019). Design and field study of motion-based informal learning games for a children’s museum. Proceedings of IEEEVR 2019 Workshop on Everyday Virtual Reality.
[https://doi.org/10.1109/WEVR.2019.8809588]
-
George, B., Desmidt, S., Nielsen, P. A., & Baekgaard, M. (2017). Rational planning and politicians’ preferences for spending and reform: Replication and extension of a survey experiment. Public Management Review, 19(9), 1251-1271.
[https://doi.org/10.1080/14719037.2016.1210905]
-
Grimmelikhuijsen, S., Aleksovska, M., van Erp, J., Gilad, S., Maman, L., Bach, T., ... & Houlberg Salomonsen, H. (2024). Does enforcement style influence citizen trust in regulatory agencies? An experiment in six countries.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and Theory, muae018.
[https://doi.org/10.1093/jopart/muae018]
- Jung, S. Y. (2023). Hyperreality, virtual influencers meet the world: The role of immersion and empathy when audiences have parasocial interactions. Working Paper.
-
Kang, S., & Van Ryzin, G. G. (2019). Coproduction and trust in government: evidence from survey experiments. Public Management Review, 21(11), 1646-1664.
[https://doi.org/10.1080/14719037.2019.1619812]
-
Lee, D. (2011). What is Gamification and How Gamification will change our life? Dgital Design Research, 11(4), 449-457.
[https://doi.org/10.17280/jdd.2011.11.4.044]
-
Lee, D. S., & Park, S. (2024). Bureaucratic responsiveness under dynamic political settings: Experimental evidence from local governments. Legislative Studies Quarterly, 49(2), 323-352.
[https://doi.org/10.1111/lsq.12423]
-
Lee, J., Wu, D.-Y., Lin, J.-H., Kim, J., & Ahn, S. J. (2023). Using time travel in virtual reality (VR) to increase efficacy perceptions of influenza vaccination.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28(3).
[https://doi.org/10.1093/jcmc/zmad010]
-
Lee, S., & Kim, M. (2024). Public perceptions of cross-sector collaboration and sector bias: evidence from a survey experiment. Public Management Review, 26(8), 2429-2451.
[https://doi.org/10.1080/14719037.2023.2273316]
-
Li, H., & Van Ryzin, G. G. (2017). A systematic review of experimental studies in public management journals. Experiments in public management research: Challenges and contributions, 20-36.
[https://doi.org/10.1017/9781316676912.003]
-
Parong, J. & Mayer, R. (2018). Learning Science in Immersive Virtual Reality.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10(6): 1-13.
[https://doi.org/10.1037/edu0000241]
-
Schmidt, M. D., Rathbun, S. L., Chu, Z., Boudreaux, B. D., Hahn, L., Novotny, E., ... & Ahn, S. J. (2023). Agreement between Fitbit and ActiGraph estimates of physical activity in young children. Measurement in physical education and exercise science, 27(2), 171-180.
[https://doi.org/10.1080/1091367X.2022.2125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