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역사회의 재난 취약성 완화와 재난 불평등 대응에 관한 연구: 행위자간 협력, 사회 공정성 그리고 정부의 재난관리역량을 중심으로
초록
재난 취약성과 재난 불평등은 지역사회의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차원이 복합적으로 반영된 사회적 난제의 특성을 보인다. 이러한 이유로, 재난 취약성과 불평등을 완화하기 위한 대안이 다양한 행위자간 협력 및 사회 공정성 그리고 정부의 재난관리 역량 차원에서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재난상황에서 다양한 행위자간 협력과 사회 공정성이 지역사회의 재난 취약성과 재난 불평등에 대한 시민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협력과 사회 공정성이 지역사회의 재난 취약성과 재난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재난관리 역량의 조절효과 여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협력은 재난 취약성과 재난 불평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사회 공정성은 지역의 재난 취약성, 재난 발생빈도에 의한 불평등 그리고 재난발생 피해규모에 따른 불평등을 완화하고 있었으며, 정부의 재난관리 역량은 지역이 재난 취약성을 완화하고 있었다. 재난관리 역량의 조절효과의 경우, 협력이 재난발생 빈도 및 피해규모에 따른 불평등 완화에 미치는 영향을 정부의 재난관리 역량이 감소시키고 있었다. 반면에 정부의 재난관리 역량은 사회 공정성이 지역사회의 재난 취약성 완화에 미치는 영향을 강화시키고 있었다. 분석결과를 고려할 때, 지역사회의 재난 취약성 및 불평등을 완화하기 위해 다양한 행위자간 협력을 강화하고 협력의 실패 가능성에 대응할 필요가 있다. 이에 더하여 재난관리 과정에서 높은 수준의 사회적 공정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해, 행위자간 협력과 사회적 공정성이 재난 취약성과 재난 불평등 완화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강화하기 위해서 정부의 재난관리 역량에 대한 다차원적인 관리가 필요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Disaster vulnerability and inequality are caused by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factors and should be mitigated to increase cooperation, fairness, and government disaster management capacity.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cooperation and fairness in disaster situations on people’s perceptions of disaster vulnerability and inequality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government disaster management capacity on this relationship. The results showed that cooperation was not significantly statistically correlated with either disaster vulnerability or inequality, but fairness was significantly statistically correlated with disaster vulnerability and inequality by both disaster frequency and magnitude. Government disaster management capacity was significantly statistical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disaster vulnerability. Government disaster management capacity significantly statistically weaken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operation and disaster inequality by both disaster frequency and magnitude. It significantly statistically strengthen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irness and disaster vulnerability. Given these results, cooperation should be strengthened to reduce disaster vulnerability, while inequality and fairness should be prioritized in disaster management. This study highlighted the need for governments to increase their disaster management capacities to strengthen the positive effects of cooperation and fairness on disaster vulnerability and inequality.
Keywords:
disaster vulnerability, disaster inequality, collaboration, social equity, social justice, disaster management capacity키워드:
재난 취약성, 재난 불평등, 협력, 사회 공정성, 재난관리 역량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23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과제번호) (NRF-2023S1A5C2A02095270).
References
- 강서영・김승완. (2023). 장애인의 정부 재난지원능력에 대한 인식이 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 재난 회복력 인식의 매개효과. 「공공사회연구」, 13(3): 74-101.
- 강서윤・이숙종. (2022). 재난 상황에서 다면적 신뢰가 주관적 안전인식 및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코로나19 전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31(1): 255-286.
- 고길곤・김범. (2020). 한국의 코로나19 대응 평가에 대한 비판적 검토: 이슈의 변화와 경험적 근거분석을 중심으로. 「행정논총」, 58(4): 1-29.
- 고대유・박재희. (2018). 감염병 재난 거버넌스 비교연구-사스와 메르스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27(1): 243-280.
- 고동현. (2015). 사회적 재난으로서 허리케인 카트리나: 정부 실패와 위험 불평등. 「Korea Social Policy Review」, 22(1): 83-119.
- 구원회・신호준・백민호. (2015). 농촌지역의 재난발생에 따른 안전도 향상을 위한 기초연구.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11(3): 393-399.
- 구주영・나태준. (2018). 정부의 감염병 대응 메타거버넌스 분석: 2015년 메르스 사태를 중심으로. 「융합사회와 공공정책」, 12(3): 26-63.
- 구주영. (2020). 조직문화와 직무몰입이 재난안전관리 분야 공무원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조직공정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행정논총」, 58(1): 109-138.
- 구주영. (2021). 재난피해 지역주민과 재난관리 공무원의 재난관리 효과성 영향 요인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공공관리학보」, 35(2): 225-254.
- 구주영. (2024). 정부의 관리역량, 정치역량 그리고 민첩성이 시민의 정부대응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코로나19 정보만족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학보」, 21(2): 53-84.
- 권건주. (2005). 지방정부 재난관리조직의 효율화 방안: 삼척시 사례를 중심으로. 「Crisisonomy」, 1(2): 79-92.
- 권설아・류상일・김지은・이재은. (2016). 한국의 광역 지방정부 재난관리 조직의 효율적 운영방안-재난관리 조직구조 분석을 중심으로. 「Crisisonomy」, 12(5): 13-24.
- 권향원. (2020). 포스트 코로나 시대 정부역할과 거버넌스의 변동: 공공가치 개념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국정관리연구」, 15(4): 1-35.
- 김나윤・박창석. (2022). 기후안전사회로의 전환을 위한 기후변화 적응대책 우선순위 분석-국토・연안부문 적응대책을 중심으로. 「도시설계」, 23(5): 125-144.
- 김도훈・정창기・김현수. (2020). 재난피해지역 공동체 회복 프로그램 성과분석 및 정책적 시사점: 4.16 세월호 참사이후 안산시 사례. 「GRI 연구논총」, 22(2): 253-273.
- 김명구・양기근・정기성. (2014). 자연재난에 의한 재난취약계층의 재난안전복지 개선 방향-전라북도 임실군의 노인계층을 중심으로. 「Crisisonomy」, 10(9): 113-135.
- 김무겸. (2012). 국가위기관리체계에 대한 메타거버넌스적 고찰: 2010~ 2011년 구제역 확산사례를 중심으로. 「Crisisonomy」, 8(5): 53-82.
- 김민정・최승원. (2016). 기후변화 재난 정책갈등 실태 및 법・제도적 해결방안. 「법학논총」, 40(3): 133-162.
- 김서용. (2021). COVID-19 위기상황과 정부신뢰-신뢰대상 차이와 집계 여부에 따른 정부신뢰 결정구조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30(4): 33-65.
- 김소진. (2022). 재난불평등과 젠더, 그리고 팬데믹 이후의 과제. 「민주법학」, 78: 179-203.
- 김연수・장하영・노희성・장대원. (2022). 자연재난에 따른 지역맞춤형 도로침수 위험성 평가. 「Crisisonomy」, 18(12): 15-24.
- 김영주・문명재. (2015). 재난관리 조직의 협력수준과 조직효과성에 관한 연구. 「행정논총」, 53(3): 83-116.
- 김영주・임승빈. (2018). 지역 재난관리에서 역량기반 계획수립 (CBP) 접근방법에 관한 연구. 「행정논총」, 56(3): 103-129.
- 김영주. (2019). 재난구호 서비스 만족도와 재난지원금 형평성이 재난구호 성과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행정연구」, 28(2): 161-186.
- 김영주・문명재. (2020). 재난관리 정부성과 인식과 정부신뢰가 일반시민의 사회재난 예방참여에 미치는 영향. 「지방정부연구」, 24(1): 187-213.
- 김용상・심익섭. (2016). 협력적 거버넌스를 통한 재난구호체계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방재학회논문집」, 16(6): 185-195.
- 김윤태. (2022). 코로나19 이후 시대의 불평등과 국가의 역할. 「공공사회연구」, 12(1): 251-280.
- 김윤희・류현숙. (2015). 국내 거주 외국인의 재난안전 취약성에 관한 연구: 정보요구 사항에 대한 심층인터뷰 내용을 중심으로. 「Crisisonomy」, 11(3): 151-176.
- 김은성・안혁근・박형준・양기근・함종석. (2009).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재난안전관리의 효과적 협력방안 연구」. 한국행정연구원.
- 김은희・박희서. (2007). 민원행정서비스에 대한 주민들의 공정성 지각이 친정부적 자발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행정학보」, 41(4): 261-285.
- 김종성. (2008). 지방재난관리조직의 바람직한 구축방안. 「지방행정연구」, 22(1): 3-33.
- 김종우・양원직. (2021). 민관협력 거버넌스 재난관리 구성요소 중요도 평가. 「한국공공관리학보」, 35(2): 23-45.
- 김창진・양기근. (2020). 재난취약계층이 재난 회복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기초자치단체 재난관리 예산을 중심으로. 「Crisisonomy」, 16(3): 19-44.
- 김철민・이재수. (2024). 재난・재해 취약지역의 공간적 특성에 대한 분석: 대구광역시 사례. 「Crisisonomy」, 20(9): 15-29.
- 김현성・임상규. (2024). 공동체 회복탄력성이 재난갈등 해결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4(8); 292-303.
- 문명재. (2021). 포스트 (위드) 코로나 시대의 난제해결형 정부를 위한 정부혁신에 대한 소고. 「한국행정연구」, 30(3): 1-27.
- 민지원・이와야, 사토미. (2024). 국제이동인구의 재난취약성과 지역 이주민 보호를 위한 조례와 정책-한국과 일본의 비교연구. 「입법학연구」, 21(2): 145-199.
- 박미리・이영근. (2017). 농촌지역의 사회적・환경적 특성을 반영한 재난관리 대책 방안 연구.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13(4): 511-518.
- 박승규・황창호. (2022). 정부의 코로나-19 정책수용성에 대한 연구: 정부신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행정논집」, 34(3): 411-434.
- 박재혁・박찬영・안재현・윤홍식. (2020). 지역의 재난 취약성 평가방법의 제안과 호우 재난에 적용. 「방재학회논문집」, 20(1): 151-161.
- 박종선・김경호・오세근. (2022). 「사회재난 및 기후변화 대응에 따른 사회안전망 구축방안」. 광주복지연구원.
- 박천희・전세혁・김미리. (2017). 재난구호물품 품목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연구」, 17(2): 53-66.
- 박흥식・나현. (2010). 민원행정서비스 만족도에 대한 투명성 효과: 직접 및 조절인가, 공정성을 통한 매개인가?. 「행정논총」, 48(4): 385-408.
- 배유일. (2022). 공공난제와 정부 민첩성, 그리고 디자인사고: 코로나-19 대응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33(2): 355-378.
- 배재현・이명석. (2010). 미국의 재난대응과 협력적 거버넌스: 허리케인 ‘카트리나’ 사례를 중심으로.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0(1): 189-216.
- 백정미・이창길. (2023). 재난불평등과 재난안전취약계층에 대한 지원체계-법적․ 제도적․ 실천적 과제를 중심으로. 「Crisisonomy」, 19(7): 1-18.
- 서광덕・김동헌・최윤철. (2015). 국내 공공기관의 재난위험성 현황 분석 2-위험요인 분석을 통하여.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11(3): 356-364.
- 서은석・이수연・권구순. (2021). 방글라데시 중부해안 풍수해 위험지역의 재난취약성 및 위기경감역량 실태 연구: 파투아칼리 시(市)를 중심으로. 「국제개발협력연구」, 13(2): 101-119.
- 손선화・엄광호・최성열・엄영호. (2018). 대규모복합피해 재난대응조직에 대한 국민인식이 재난관리역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거버넌스학회보」, 25(3): 79-98.
- 손웅비・박윤환. (2020). 코로나19 사태로 본 지방자치단체의 위기관리와 리더십: 경기도를 중심으로. 「GRI 연구논총」, 22(2): 1-25.
- 신상준・이숙종. (2016). 정부에 대한 공정성 인식이 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 정부성과 만족도의 매개효과에 대한 다중집단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50(2): 1-37.
- 엄석진・윤영근. (2012). 행정의 공정성에 대한 시론적 연구: 개념 정의와 인식조사결과 분석을 중심으로: 개념 정의와 인식조사결과 분석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3(4): 245-265.
- 양기근・이은애. (2010). 재해의연금의 합리적 배분기준 연구-의연금 지원대상자, 지급시차, 지원원칙을 중심으로. 「Crisisonomy」, 6(2): 181-197.
- 양기근・김명구. (2012). 지방정부의 재난관리 역량 분석. 「한국지방행정학보」, 9(2): 29-54.
- 양기근. (2016). 재난 취약성 극복과 복원력 향상 방안-재난 취약성과 복원력의 개념적 통합을 중심으로. 「Crisisonomy」, 12(9): 143-155.
- 양기근・서민경. (2019). 재난안전취약계층의 재난취약성과 재난복원력 연구: 재난안전취약계층의 복원력 지원체계 비교분석. 「한국융합과학회지」, 8(2): 220-239.
- 양기근. (2024). 「재난관리론」. 서울: 윤성사.
- 오승현・정다정・나태준. (2024). 지방정부 재난취약계층 지원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재난취약계층지원 조례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27(4): 339-368.
- 유범상. (2020). 불평등에 대한 대응과 사회복지: 코로나19 와 재난기본소득을 통해 본 복지정치의 방향. 「생명연구」, 57: 35-63.
- 유수동・전성훈. (2016). 재난관리정책에 대한 집행요인과 협력적 거버넌스에 관한 연구: 지방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거버넌스학회보」, 23(3): 87-115.
- 유은지・엄영호. (2017). 지방정부간 재난관리의 차이는 왜 발생하는가?: 지방정부 재난관리기금을 중심으로: 지방정부 재난관리기금을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20(4): 89-113.
- 유현정・이재은・노진철・김겸훈. (2008). 수요자 관점에서 접근한 재난관리서비스의 개선 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8(5): 224-236.
- 윤기웅・공동성. (2020). 코로나19 대응 거버넌스의 성공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성과중심적 거버넌스 모형을 활용하여. 「한국행정논집」, 32(3): 535-570.
- 윤수재・황덕연・김은주・이동은. (2022). 「분야별 성과지표 개선방안 연구 Ⅳ: 재난안전분야를 중심으로」. 기본연구과제. 한국행정연구원.
- 이관형・이원호・양원직. (2016). 사회재난의 재난위해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9(2): 15-21.
- 이다솔・이대웅. (2024). 재난 이후 공공서비스 우선순위 분석-재난 유형 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정책연구」, 24(2): 81-104.
- 이대웅・이다솔・이주현. (2019). 재난관리 공무원의 전문성이 협력적 재난관리에 미치는 영향: 협력역량과 성과를 중심으로. 「방재학회논문집」, 19(2): 91-103.
- 이대웅・이다솔. (2023). 정부의 재난 구호서비스와 갈등 간의 영향 관계에 관한 연구: 피해규모에 따른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정책분석평가학회보」, 33(4): 49-72.
- 이돈희・이동현. (2020). 위기상황에서의 의료서비스 공정성과 지역사회 참여: COVID-19 대응 실패사례를 중심으로. 「서비스경영학회지」, 21(2): 293-312.
- 이동규・민연경. (2016). 재난의 인적환경 취약성이 사회위험인식에 미치는 영향-재난안전 국민인식 옴니버스 조사결과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25(1): 33-60.
- 이명석・오수길・배재현・양세진. (2008). 재난대응 거버넌스 분석-민간자원봉사네트워크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17(3): 163-188.
- 이수연. (2023). 장애인 재난안전 정책에 관한 탐색적 고찰: 재난 취약성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34(2): 77-98.
- 이승준. (2019). 기후변화 위험관리를 위한 체계.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15(3): 367-379.
- 이슬기・김태형. (2022). 코로나19 대응성과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민첩한 정부의 비선형성과 정부의 관리역량을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26(3): 225-254.
- 이영희. (2014). 재난관리, 재난 거버넌스, 재난 시티즌십. 「경제와 사회」, 104: 56-80.
- 이용규・김유진. (2021). 사회재난 기부금 배분체계 혁신의 방향에 관한 소고. 「국가정책연구」, 35(2): 39-61.
- 이윤아・윤상오. (2023). 코로나19 재난과 정보격차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26(3): 1-35.
- 이재은. (2011). 재난관리 역량 강화와 재난관리서비스의 공공재적 특성. 「Crisisonomy」, 7(6): 1-16.
- 이재은. (2018). 재난 레질리언스 강화: 한국의 안전공동체 거버넌스 개혁을 위한 혁신 방안. 「Crisisonomy」, 14(3): 75-90.
- 이종열・이종영・최진식・정지범. (2014). 「재난관리론. 서울: 대영문화사.
- 임상규・서보람・최우정. (2017). 국가재난관리의 새로운 핵심, 재난관리역량 개념의 탐색적 연구. 「Crisisonomy, 13(12): 115-126.
- 임현우・유지선. (2024). 「재난관리론: 이론과 실재」. 서울: 박영사.
- 정영숙・박통희. (2016). 성과평가의 공정성과 조직몰입-식품의약품안전처를 대상으로. 「한국정책학회보」, 25(3): 243-275.
- 조경식. (2009). 지역복지서비스에 대한 고객들의 공정성 지각이 고객만족 및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공공관리학보」, 23(1): 115-149.
- 조민상・김원기. (2019). 자치단체의 재난취약계층 지원 프로그램 강화방안. 「한국융합과학회지」, 8(2): 240-250.
- 조성. (2024). 자연재난 피해지원 강화를 위한 지방정부 제도 활용방안-충청남도를 중심으로. 「한국융합과학회지」, 13(10): 257-268.
- 조성윤・정혜은. (2023). 「인천광역시 재난복지 실현 방안」. 인천연구원.
- 조종묵・류상일・이재은. (2011). 재난관리기관간 협력체계구축을 위한 영역별 상대적 중요도 분석-AHP 기법을 이용한 우선순위 측정을 중심으로. 「Crisisonomy」, 7(1): 107-124.
- 채종헌・최호진・이재호. (2018). 「재난 불평등 해소와 사회통합 전략에 관한 연구」. 기본연구과제, 2018: 6538-7040.
- 최경식・양기근・송은란. (2017). 재난안전약자에 대한 지원시스템 개선방안-재난안전정책 담담공무원 및 전문가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Crisisonomy」, 13(9): 67-82.
- 최병윤. (2022a). 커뮤니티웰빙이 재난 취약성에 미치는 영향: 장애인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보」, 36(1): 167-193.
- 최병윤. (2022b). 재난취약계층으로서 장애인의 재난 취약성 척도 개발 연구. 「한국융합과학회지」, 11(3): 108-130.
- 최병윤. (2023). 장애인의 환경 특성이 지역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지각된 재난 취약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지방행정연구」, 37(3): 249-285.
- 최상옥. (2012). 정부의 질 연구: 효과성 제고를 위한 정부역량 개념의 탐색적 고찰. 「정부학연구」, 18(2): 77-97.
- 최상옥. (2020). 뉴노멀 코로나 위기관리 거버넌스. 「국정관리연구」, 15(3): 1-26.
- 최상옥. (2023). 한국형 초위험사회 정책조합 모형과 재난안전정책 거버넌스. 「한국재난관리학보」, 1(1): 43-54.
- 최진희. (2023). 코로나19와 가구소득 불평등: 기존 소득보장제도와 일시적인 재난지원금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 43(1): 246-264.
- 최충익. (2017). Understanding the Impacts of Disasters on Economic Growth: Application of Solow Growth Model and Its Implications. 「한국위기관리논집」, 13(6): 69-83.
- 최호철・권용수・김미선. (2019). 재난대응역량과 재난관리성과의 관계성에 법・제도 체계성이 미치는 조절효과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보」, 23(2): 25-48.
- 최호택・류상일. (2006). 효율적 재난대응을 위한 지방정부 역할 개선방안: 미국, 일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미국, 일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6(12): 235-243.
- 하연섭・나태준・문명재・배현회・양재진・엄태호・이삼열・이정욱・이종수・장용석・정명은・정헌주・조윤직・홍순만. (2015). 「위험사회와 국가정책」. 서울: 박영사.
- 한승주. (2018). 사회재난 이후, 정부의 대응과 책임 변화. 「정부학연구」, 24(1): 277-308.
-
Adams, J. S. (1965). Inequity in social exchange. In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Vol. 2, pp. 267-299). Academic Press.
[https://doi.org/10.1016/S0065-2601(08)60108-2]
- Alwang, J., Siegel, P. B., & Jorgensen, S. L. (2001). Vulnerability: A View from Different Disciplines. Social Protection Discussion Paper Series. 115.
- Barnshaw, J., & Trainor, J. (2007). Race, class, and capital amidst the Hurricane Katrina diaspora. The sociology of Katrina: Perspectives on a modern catastrophe, 91-105.
- Bies, R. J., & Moag, J. S. (1986). Interactional justice: Communication criteria of fairness. Research on negotiation in organizations, 1: 43-55.
-
Bies, R. J., & Shapiro, D. L. (1987). Interactional fairness judgments: The influence of causal accounts. Social justice research, 1, 199-218.
[https://doi.org/10.1007/BF01048016]
-
Birkman, Joern, Omar Dario Cardona, Martha Liliana Carreño Tibaduiza, and Alex H. Barbat. 2013. Framing Vulnerability, Risk and Societal Response: The MOVE Framework. Natural Hazards. 67(2): 193-211.
[https://doi.org/10.1007/s11069-013-0558-5]
-
Birkmann, J., Sorg, L., & Welle, T. (2017). Disaster vulnerability. The Palgrave handbook of unconventional risk transfer, 329-356.
[https://doi.org/10.1007/978-3-319-59297-8_11]
-
Blaikie, P., Cannon, T., Davis, I., & Wisner, B. (2014). At risk: natural hazards, people’s vulnerability and disasters. Routledge.
[https://doi.org/10.4324/9780203714775]
- Blau, P. (1964). Exchange and power in social life. Routledge.
-
Blodgett, J. G., Hill, D. J., & Tax, S. S. (1997). The effects of distributive, procedural, and interactional justice on postcomplaint behavior. Journal of retailing, 73(2): 185-210.
[https://doi.org/10.1016/S0022-4359(97)90003-8]
-
Bolin, B., & Kurtz, L. C. (2018). Race, class, ethnicity, and disaster vulnerability. Handbook of disaster research, 181-203.
[https://doi.org/10.1007/978-3-319-63254-4_10]
-
Burton, C. G. (2010). Social vulnerability and hurricane impact modeling. Natural Hazards Review, 11(2): 58-68.
[https://doi.org/10.1061/(ASCE)1527-6988(2010)11:2(58)]
- Cannon, T., Twigg, J., & Rowell, J. (2003). Social vulnerability, sustainable livelihoods and disasters. Report to DFID conflict and humanitarian assistance department (CHAD) and sustainable livelihoods support office, 93: 1-63.
- Colquitt, J. A., & Shaw, J. C. (2013). How should organizational justice be measured?. In Handbook of organizational justice (pp. 113-152). Psychology Press.
-
Comfort, L. K., Waugh Jr., W. L., and Cigler, B. A. (2012). Emergency Management Research and Practice in Public Administration: Emergence, Evolution, Expansion, and Future Directions.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72(4): 539-547.
[https://doi.org/10.1111/j.1540-6210.2012.02549.x]
-
Deutsch, M. (1975). Equity, equality, and need: What determines which value will be used as the basis of distributive justice?. Journal of Social issues, 31(3): 137-149.
[https://doi.org/10.1111/j.1540-4560.1975.tb01000.x]
-
Donahue, A. K. and Joyce, P. G. (2001). A Framework for Analyzing Emergency Management with an Application to Federal Budgeting.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61(6): 728-740.
[https://doi.org/10.1111/0033-3352.00143]
-
Elliott, J. & Pais, J. (2006). Race, class and Hurricane Katrina: Social differences in human responses to disaster. Social Science Research. 35: 295-321.
[https://doi.org/10.1016/j.ssresearch.2006.02.003]
-
Folger, R., & Konovsky, M. A. (1989). Effects of procedural and distributive justice on reactions to pay raise decision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2(1): 115-130.
[https://doi.org/10.2307/256422]
-
Gil‐Rivas, V., & Kilmer, R. P. (2016). Building community capacity and fostering disaster resilience.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72(12): 1318-1332.
[https://doi.org/10.1002/jclp.22281]
-
Greenberg, J. (1987). A taxonomy of organizational justice theorie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2(1): 9-22.
[https://doi.org/10.2307/257990]
- Homans, G. C. (1961). Social behavior: Its elementary forms. New York.
- Jacobs, L. R. (2005). Inequality and American Democracy: What we know and what we need to learn. Russell Sage Foundation.
-
Jessop, B. (1995). The regulation approach, governance and post-Fordism: alternative perspectives on economic and political change?. Economy and society, 24(3): 307-333.
[https://doi.org/10.1080/03085149500000013]
-
Johnson, C.(ed.).(2011). The neoliberal deluge: Hurricane Katrina, late capitalism and the remaking of New Orleans. The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https://doi.org/10.5749/minnesota/9780816673247.001.0001]
-
Kapucu, N., & Garayev, V. (2011). Collaborative decision-making in emergency and disaster manage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34(6): 366-375.
[https://doi.org/10.1080/01900692.2011.561477]
- Kreps, G. (1990). Organizing for Emergency Management. Emergency management: Principles and practices for local government, 86-99.
-
Kusumasari, B., Alam, Q., & Siddiqui, K. (2010). Resource capability for local government in managing disaster. Disaster Prevention and Management: An International Journal, 19(4): 438-451.
[https://doi.org/10.1108/09653561011070367]
-
Leventhal, G. S. (1980). What should be done with equity theory?. In Social exchange (pp. 27-55). Springer, Boston, MA.
[https://doi.org/10.1007/978-1-4613-3087-5_2]
-
Lind, E. A., & Tyler, T. R. (1988). The social psychology of procedural justic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https://doi.org/10.1007/978-1-4899-2115-4]
- Maskrey, A. (1993). Vulnerability accumulation in peripheral regions in Latin America: the challenge for disaster prevention and management. In Natural disasters: protecting vulnerable communities: Proceedings of the Conference held in London, 13-15 October 1993 (pp. 461-472). Thomas Telford Publishing.
- Mutter, J. (2015). The Disaster Profiteers: How natural disasters make the rich richer and the poor even poorer. St. Martin’s Press.
-
Orsingher, C., Valentini, S., & De Angelis, M. (2010). A meta-analysis of satisfaction with complaint handling in service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38: 169-186.
[https://doi.org/10.1007/s11747-009-0155-z]
- Paton, D. (2006). Disaster resilience: building capacity to co-exist with natural hazards and their consequences. Disaster resilience: An integrated approach, 3-10.
-
Petak, W. J. (1985). Emergency Management: A Challenge for Public Administration.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https://doi.org/10.2307/3134992]
-
Skertich, R. L., Johnson, D. E., and Comfort, L. K. (2012). A Bad Time for Disaster: Economic Stress and Disaster Resilience. Administration and Society. 45(2): 145–166.
[https://doi.org/10.1177/0095399712451884]
-
Stallings, R. A., and Quarantelli, E. L. (1985). Emergent Citizen Groups and Emergency Management.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45(Special Issue): 93-100.
[https://doi.org/10.2307/3135003]
-
Tax, S. S., Brown, S. W., & Chandrashekaran, M. (1998). Customer evaluations of service complaint experiences: implications for relationship marketing. Journal of marketing, 62(2): 60-76.
[https://doi.org/10.1177/002224299806200205]
- Vogel, C., & O’Brien, K. (2004). Vulnerability and global environmental change: rhetoric and reality. Aviso: an information bulletin on global environmental change and human security, issue no. 13, March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