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역 일자리 대체위협 지수로 본 인공지능의 광역시도별 노동시장 파급효과 분석
초록
최근 인공지능과 로봇기술과 같은 4차 산업혁명의 기술 발전이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주목한 연구가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인공지능과 로봇기술이 결합된 미래 노동시장의 변화를 지역수준에서 분석하는 데는 여전히 한계가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는 구교준 외(2024)가 개발한 직종별 일자리 대체가능성 지수를 통계청의 인구주택총조사 표본자료의 지역·직종별 종사자 비중과 연계하여 지역 일자리 대체위협 지수를 산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두 가지 주요 분석을 수행하였다. 첫째, 지역별 일자리 대체위협 지수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인공지능과 로봇기술이 노동시장에 미친 영향이 ‘강원, 제주, 경북, 인천, 부산’ 지역에서 두드러졌다. 특히 철강, 자동차 등 산업에서 로봇기술 도입이 증가함에 따라, 해당 산업에 종사하는 인력이 많은 지역이나 단순 직무 비중이 높은 지역에서 일자리 대체위협이 더욱 크게 나타났다. 둘째, 지역 일자리 대체위협 지수가 지역 노동시장의 임금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중간일자리 비중과 실업률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좀 더 구체적으로, 일자리 대체위협 지수가 높은 지역일수록 중간일자리의 비중은 적고, 실업률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인공지능과 로봇기술의 발달로 인해 지역수준에서 중간일자리가 이미 대체되고 있으며, 앞으로 이러한 현상이 가속화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 차원에서 기술 발전이 고용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것의 중요성과, 이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Abstract
The rapid advance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and robotics, which are key driver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s raised growing concerns about their impact on the labor market. While numerous studies have examined the implications of these technologies, significant gaps remain in understanding their effects at the regional level. To address this gap, this study constructs a Regional AI Job Replacement Index by integrating the AI Job Replacement Index developed by Koo et al. (2024) with occupational employment shares derived from the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conducted by Statistics Korea. Two key analyses are performed using this index.
First, the Regional AI Job Replacement Index indicates that, as of 2020, the impact of AI and robotics on regional labor markets has been particularly pronounced in Gangwon, Jeju, Gyeongbuk, Incheon, and Busan. The increasing adoption of robotic technologies in key industries, such as steel and automotive manufacturing, has heightened the risk of job displacement, particularly in regions with a high concentration of workers in these sectors or a significant share of routine-based occupations.
Second, while the Regional AI Job Replacement Index does not show a significant effect on regional wage levels, it demonstrates a meaningful impact on the share of middle-class jobs and the unemployment rate. Specifically, regions with higher Regional AI Job Replacement Index scores tend to have a lower proportion of middle-class jobs and higher unemployment rates. This suggests that middle-class jobs are already being displaced by AI and robotics at the regional level, with the potential for this trend to accelerate in the future.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oroughly understanding the impact of technological advancements on the labor market at the regional level and underscores the necessity of policy efforts to effectively respond to these changes.
Keywords:
artificial intelligenc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regional AI job replacement index, regional labor market, job키워드:
인공지능, 4차 산업혁명, 지역 일자리 대체위협 지수, 지역노동시장, 일자리Acknowledgments
본 논문은 한국개발연구원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인공지능과 4차 산업혁명의 노동시장 파급효과와 대안적 복지정책 수단의 효과 분석”의 최종결과물의 일부를 수정 보완하여 작성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