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민 개념에 대한 재고찰: 동일성 존재조건에서 차이 존재조건으로
초록
본 연구는 현대 민주주의에서 시민 개념이 동일성과 보편성 중심으로 구성되어 왔다는 문제를 제기하며, 이를 차이를 인정하는 방식으로 재구성할 필요성을 논의한다. 들뢰즈의 ‘차이 자체’ 개념을 이론적 토대로 삼아, 시민 개념을 고정된 정체성이 아니라 변화하는 존재로 이해해야 함을 주장한다. 이를 통해 차이는 단순히 용인되는 것이 아니라, 시민성의 본질적 요소로 간주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기존의 주체 중심 정체성으로부터 차이를 인식하는 동일성 관점으로부터 도출되는 ‘합의’가 갖는 한계를 비판하고, 차이 자체로부터 생성되는 잠정적, 갈등적 합의를 바탕으로 한 맥락적 공공성 개념을 제안함으로써 현대 민주주의가 보다 포용적이고 역동적인 방식으로 운영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한다. 이러한 논의는 차이를 존중하는 공적 논의 구조와 궁극적으로 민주적 사회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
Abstract
This study raises the issue that the concept of citizenship in modern democracy has been constructed primarily based on uniformity and universality and discusses the need to reconstruct it in a way that acknowledges difference. Drawing on Deleuze's concept of 'difference-in-itself' as a theoretical foundation, the study argues that citizenship should be understood not as a fixed identity but as an evolving existence. In this context, difference should not merely be tolerated but recognized as an essential element of citizenship. This study critiques the limitations of consensus derived from identity-based recognition of difference within the framework of subject-centered identity and proposes a contextual concept of the public sphere based on provisional and conflictual consensus generated through difference itself. By doing so, it explores the possibility of operating modern democracy in a more inclusive and dynamic manner. These discussions contribute to fostering a public discourse structure that respects difference and ultimately enhances the sustainability of democratic society.
Keywords:
difference, difference-in-itself, identity, citizenship, publicness키워드:
차이, 차이 자체, 동일성, 시민, 공공성References
- 김도윤. (2023). 니체주의적 경합적 민주주의는 샹탈 무페 모델의 대안이 될 수 있는가? 「시대와 철학」. 34(4): 45-77.
- 김명환・강제상. (2023). 왜 공공가치인가? 김명환, 강제상 엮음. 「공공가치: 이론과 실제」. 17-31. 윤성사.
- 김상환. (2008). 데리다의 텍스트. 「철학사상」, 27: 91-120.
- 김재인. (2016). 「혁명의 거리에서 들뢰즈를 읽자: 들뢰즈 철학 입문」. 아모르파티.
- 박치성. (2024). 「정책학: 맥락으로 정책 이해하기」. 박영사.
- 백종현. (2017). 「이성의 역사」. 아카넷.
- 백종현. (2008). 헤겔의 ‘시민사회’론. 「철학사상」, 30: 95-129.
- 백종현. (1996). 보편적 이성과 인간의 이상: ‘독일 이상주의’의 지향과 결실. 「철학」, 49: 85-121.
- 서동욱. (2023). 「차이와 반복의 사상: 들뢰즈와 하이데거」. 서강대학교 출판부.
- 서동욱. (2002). 「들뢰즈의 철학: 사상과 원천」. 서울: 민음사.
- 오수웅. (2015). 루소의 시민교육: 개념, 역량 그리고 교육. 「한국정치연구」, 24(1): 277-301.
- 윤평중. (1998). 「푸코와 하버마스를 넘어서」. 교보문고.
- 임의영. (2024). 「공공성의 사상적 기초: 다름과 어울림」. 윤성사.
- 임의영. (2019). 「공공성의 이론적 기초」. 박영사.
- 임의영. (2015). 경합공간(agonistic space)으로서 공론영역과 행정: C. Mouffe의 급진민주주의를 중심으로. 「행정논총」, 53(2): 1-25.
- 임현진・정영철. (1999). 국가・계급・민족・문화: 한국사회의 정태와 동태 분석을 위한 시론. 「한국사회과학」, 21(1): 75-110.
- 장명학. (2003). 하버마스의 공론장 이론과 토의민주주의. 「한국정치연구」, 12(2): 1-34.
- 하상복. (2009). 「광기의 시대, 소통의 이성」. 김영사.
- Adorno, T.W., & Horkheimer, M. (1944/2001). Dialectic of Enlightenment: Philosophical Fragments. 김유동(역). 「계몽의 변증법」. 문학과 지성사.
- Anderson, B. (1991/2002). Imagined Communities: Reflections on the Origin and Spread of Nationalism. 윤형숙(역). 「상상의 공동체」. 나남.
- Arendt, H. (1958/2019). The Human Condi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이진우(역). 「인간의 조건」. 한길사.
- Arendt, H. (1968/1983). Men in Dark Times. Harcourt, Brace & World. 권영빈(역). 「어두운 시대의 사람들」. 문학과 지성사.
- Barrett, L.F. (2017). How Emotions Are Made: The Secret Life of the Brain. 최호영(역). 「감정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생각연구소.
- Berger, P. L., & Luckmann, T. (1966). The Social Construction of Reality: A Treatise in the Sociology of Knowledge. Anchor Books.
-
Blackburn, S. (2016). The Oxford Dictionary of Philosophy (3rd ed.). Oxford University Press.
[https://doi.org/10.1093/acref/9780198735304.001.0001]
- Breuilly, J. (1982). Nationalism and the Stat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Burns, E.M., Robert E.L., & Standish M. (1984/1994). Western Civilizations (10th ed.). New York: W.W. Norton & Company. 박상익(역). 「서양 문명의 역사 Ⅰ: 역사의 여명에서 로마 제국까지」. 서울: 소나무.
-
Carson, C. (2010). Science as Instrumental Reason: Heidegger, Habermas, Heisenberg. Continental Philosophy Review, 42: 483–509.
[https://doi.org/10.1007/s11007-009-9124-y]
- Damasio, A. (1994/2017). Descartes‘ Error. 김린(역). 「데카르트의 오류」. 눈출판그룹.
-
DeLeon, P. (2006). The Historical Roots of the Field. In M. Moran, M. Rein & R.L. Goodin. (eds). The Oxford Handbook of Public Policy, 39-57.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https://doi.org/10.1093/oxfordhb/9780199548453.003.0002]
- Deleuze, G. (1969/1999). Logique du sens. Les Éditions de Minuit. 이정우(역). 「의미의 논리」. 한길사.
- Deleuze, G., & Guattari, F. (1980/2001). A Thousand Plateaus. 김재인(역). 「천개의 고원」. 새물결.
-
Dillard, J.F., & Ruchala, L. (2005). The Rules Are No Game: From Instrumental Rationality to Administrative Evil. Accounting, Auditing & Accountability Journal. 18(5): 608-630.
[https://doi.org/10.1108/09513570510620475]
- Finlayson, J.G. (2005/2022). Habermas. 서요련(역). 「하버마스 입문」. 필로스픽.
- Gellner, E. (1983). Nations and Nationalism. New York: Cornell University Press.
- Habermas, J. (1989/2001). The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the Public Sphere. Cambridge, Polity. 한승완(역). 「공론장의 구조변동」. 서울: 나남.
- Habermas, J. (1984/2006). The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Reason and the Rationalization of Society (Vol. 1) (T. McCarthy, Trans.). Beacon Press. 장춘익(역). 「의사소통 행위이론 1」. 서울: 나남.
-
Habermas, J. (1992/1996). Between Facts and Norms: Contributions to a Discourse Theory of Law and Democracy (W. Rehg, Trans.). MIT Press.
[https://doi.org/10.7551/mitpress/1564.001.0001]
- Harper, D. (2023). “Bourgeois.” Online Etymology Dictionary. Retrieved from https://www.etymonline.com/word/bourgeois
-
Hegel, G.W.F. (1821/1991). Elements of the Philosophy of Right (A. W. Wood, Ed., H. B. Nisbet, Tra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https://doi.org/10.1017/CBO9780511808012]
- Hobsbawm, E.J. (1992/1994). Nations and Nationalism Since 1780: Programme, Myth, Reality (2nd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강명세(역). 「1780년 이후의 민족과 민족주의」. 창작과 비평사.
- Hobsbawm, E.J. & Ranger, T. (1983). The Invention of Tradi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 Le Bon, G. (1895/2008). The Crowd: A Study of the Popular Mind. 이재형(역). 「군중심리: 대중사회의 군중의 행동을 결정하는 심리학」. 문예출판사.
- Lejano, P.L. (2006). Frameworks For Policy Analysis: Merging Texts and Contexts. New York: Routledge.
-
Maor, M. & Capelos, T. (2023). Symposium: Affect and Emotions in Policy Dynamics. Policy Sciences, 56: 439-448.
[https://doi.org/10.1007/s11077-023-09512-7]
- Marshall, T.H. (1950). Citizenship and Social Clas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Mouffe, C. (2013/2020). 서정연(역). 「경합들: 갈등과 적대의 세계를 정치적으로 사유하기」. 난장.
-
Nielsen, K. (1976). Rationality and Universality. The Monist, 59(3): 441–455.
[https://doi.org/10.5840/monist19765937]
- Rajchman, J. (2005/2023). The Deleuze Connections. 「들뢰즈, 연결의 철학」. 김재인(역). 그린비.
- Rawls, J. (1993/2016). Political Liberalism. Columbia University Press. 장동진(역). 「정치적 자유주의」. 동명사.
- Rousseau, J.J. (1762/2016). The Social Contract. 이재형(역). 「사회계약론」. 문예출판사.
- Skocpol, T. (1979/1989). States and Social Revolutions: A Comparative Analysis of France, Russia, and China. Cambridge University Press. 한창수・김현택(공역). 「국가와 사회혁명: 혁명의 비교연구」. 까치.
- Smith, A.D. (1986). The Ethnic Origin of Nations. Cambridge, MA: Basil Blackwell.
- Stone, D.A. (2012). Policy Paradox. (3rd ed.). New York: W.W. Norton & Company.
- Thoreau, H.D. (1848/1999). Civil Disobedience. 강승명(역). 「시민의 불복종」. 이레.
- Turner, B.S. (1993). Citizenship and Social Theory. Sage Publications.
- 千葉雅也(지바 마사야). (2022/2023). 「現代思想⼊⾨」. 김상윤(역). 「현대사상 입문」. 파주: Arte.
- 斎藤潤⼀(사이토 준이치). (2000/2009). 「公共性」. 윤대석외(역). 「민주적 공공성」. 이음.
- 國分功⼀郞(고쿠분 고이치로). (2013/2015). 「ドゥル-ズの哲學原理」. 박철은(역). 「고쿠분 고이치로의 들뢰즈 제대로 읽기」. 동아시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