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 Article ]
Korea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 Vol. 62, No. 4, pp.165-189
ISSN: 1229-6694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1 Dec 2024
Received 22 Oct 2024 Revised 21 Nov 2024 Accepted 02 Dec 2024
DOI: https://doi.org/10.24145/KJPA.62.4.6

형사사법기관에 대한 부패 인식에 미치는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이서호*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행정학 박사수료 shlzzang11@skku.edu
A Study of Predictive Factors Affecting Perception of Corruption in Criminal Justice Institutions
Seoho Lee*

초록

형사사법(刑事司法)은 본질적으로 다양한 사회 구조의 역학관계 속에서 사회 통제적 기능을 수행한다. 이 같은 역할은 각종 사회문제에 대응하고 민주적 질서와 법치 수호에 있어서 엄중한 공정성 및 청렴성이 수반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형사사법기관에 대한 부패 인식에 미치는 예측요인을 공직부패 유발요인을 중심으로 실증적으로 검토해 반부패・청렴 정책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둔다. 실증분석을 위해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형사사법기관에 대한 부패 인식에 미치는 공직부패 유발요인은 부패통제 측면, 업무환경측면, 공직자 인적 측면 순으로 양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형사정의의 이념과 연계해 각 부패 요인에 따른 차별적인 정책 제시가 가능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다각적인 측면에서 형사사법기관에 대한 부패 인식을 고찰할 필요성을 시사하는 것으로 올바른 형사정의의 이념을 반영한 형사사법기관에 대한 반부패 정책의 구체적 방향성을 제공한다.

Abstract

Criminal justice essentially performs a social control function within the dynamics of various social structures. This role entails strict fairness and integrity in response to various social problems and protecting the democratic order and the rule of law.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redictive factors affecting the perception of corruption in criminal justice institutions empirically, focusing on factors that cause public corruption, and to derive integrity and anti-corruption policies. The "Survey on the Reality of Public Corruption" was utilized for the empirical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factors causing public corruption that affect the perception of corruption in criminal justice institutions are positive and significant in the following order: corruption control, work environment, and public official personality. This shows that it is possible to present differentiated policies according to each corruption factor in conjunction with the ideology of criminal justice. This suggests the need to consider the perception of corruption in criminal justice institutions from various aspects and provides a specific direction for anti-corruption policies in criminal justice agencies that reflect the ideology of proper criminal justice.

Keywords:

criminal justice institutions, corruption perception, factors causing public corruption, anti-corruption policy

키워드:

형사사법기관, 부패 인식, 공직부패 유발요인, 반부패 정책

References

  • 김병수. (2020). 검찰개혁의 필요성과 추진방향. 「한국부패학회보」, 25(2):107-121.
  • 김보은. (2018). 부패유발요인이 공무원의 외부부정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 기업가 인식을 기반으로: 기업가 인식을 기반으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8(4):171-199.
  • 김봉수. (2020). 검찰개혁, 어디로 가고 있는가?. 「비교형사법연구」, 22(3): 21-46.
  • 김준석・조진만・엄기홍. (2011). 부패인식의 차이에 대한 실증적 분석: 시민들의 공직사회에 대한 부패인식의 차이는 어떠한 요인에 기인하는가?. 「한국사회와 행정연구」,21(4):343-371.
  • 김진혁. (2014). 형사사법과정에 대한 시민참여의 나아갈 방향. 「한국공안행정학회보」, (2006~), 23(3): 11-33.
  • 김철식. (2012). 공무원 부정부패의 원인과 현황에 대한 실증적 분석. 「공공사회연구」, 2(1):43-76.
  • 김현수. (2022). 검찰개혁의 방향과 과제. 「형사법의 신동향」, (77):194-226.
  • 고길곤・조수연. (2017). 시민의 부패 경험과 부패영향요인에 대한 인식의 관계: 관계의 시점 간 안정성과 효과크기 분석: 관계의 시점 간 안정성과 효과 크기 분석.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8(1):31-56.
  • 사공영호. (2002). 재량권, 지대 그리고 부패: 토지, 건축분야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11(4): 75-100.
  • 서보학. (2020). 개정법상 검찰의 직접수사범위-제・개정된 검찰개혁법령의 비판적 고찰과 제도적 개선방안. 「범죄수사학연구」, 6(2): 5-30.
  • 서보학. (2021). 검찰개혁 완성을 위한 완전한 수사・기소 분리 방안-중대범죄 전담특별수사기구 설치의 의미와 핵심 개요를 중심으로. 「법학논총」, 34(2):85-121.
  • 선종수. (2024). 검찰개혁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한국부패학회보」, 29(1):73-90.
  • 송성화. (2022). 행정분야별 부패 영향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국정관리연구」, 17(2):35-72.
  • 신동선・오성수. (2024). 사전예방 및 사후제재: 공공기관의 부패 대응 제도가 청렴성에 미치는 영향. 「감사논집」, 42:79-107
  • 윤성혜. (2017). 경찰 부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학회보」, 19(6):207-231.
  • 이서호・김다솜・홍성우・배수호. (2024). 공공기관 종사자의 공공성 인식유형 연구: Q 방법론을 활용하여. 「행정논총」, 62(1):1-24.
  • 이용식. (2012). 회복적 정의와 형사사법 정의: 두 정의의 ‘절충’은 가능한 것인가?: 두 정의의 ‘절충’은 가능한 것인가?. 「동아법학」, (54):417-448.
  • 이원상. (2024). 형사사법절차의 방해 및 왜곡에 대한 소고-조직적 사법방해 및 권력 결탁적 법왜곡을 중심으로. 「법학논총」, 31(2):85-114.
  • 이호규・고대유. (2022). 공직부패 발생 요인과 저감 방안 모색. 「한국정책구」, 22(2):165-184.
  • 왕재선. (2019). 부패인식의 요인 - 국가위기관리를 위한 함의. 「한국위기관리논집」, 15(3):1-24.
  • 표성수. (2017). 형사사법기관 간의 합리적 관계의 모색-건전한 견제와 균형의 필요. 「법조」, 66(2): 265-307.
  • 장영수. (2020). 검찰개혁, 올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는가?. 「고려법학」, (96):4 9-80.
  • 조운행. (2005). 공직부패의 원인 및 정책대안. 「전문경영인연구」, 8(1):119-15 1.
  • 조일형・이현철・권기헌. (2014). 공직부패 유발 요인에 관한 연구: 기업 및 사업 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 23(1):39-63.
  • 차유정・노성훈. (2022). 경제적 계층이 형사사법 불공정 인식에 미치는 영향: 사회갈등 인식과의 관계성을 중심으로. 「형사정책연구」, 33(4):39-69.
  • 최선우. (2003). 형사사법의 역사성과 체제론적 접근. 「한국공안행정학회보」, (~ 2006), 16:203-239.
  • 최선우. (2006). 형사사법모델과 한국 형사사법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보」, (24): 211-244.
  • 최선우. (2015). 수사구조의 근대성과 미군정기의 수사구조 형성과정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보」, 24(4):237-264.
  • 최선우. (2017). 권력모델에 의한 형사사법 연구-검사의 지위와 역할 중심. 「한국경찰학회보」, 19(1):185-213.
  • 최예나. (2021). 부패요인이 정부수준별 부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부패 방지정책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32(2):137-168.
  • 윤옥경. (2014). 한국의 범죄추세와 형사사법기관의 활동: 탐색적 연구. 「교정담론」, 8(2):251-280.
  • 홍상우・송수빈・윤태범. (2023). 공직부패 발생요인과 정부신뢰의 관계에 대한 실증연구: 공직부패 정도에 대한 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책분석 평가학회보」, 33(4):73-100.
  • 황태연・정규진・이명석. (2019). 사례연구와 과정추적법 (process tracing): 새로 운인과관계 추론논리. 「한국행정학보」, 53(4):119-150.
  • Razafindrakoto, M., & Roubaud, F. (2006). Governance, Democracy and Poverty Reduction: Lessons drawn from the 1-2-3 surveys in francophone Africa. African Statistical Journal, 2(2), 43-82.
  • Hagan, J., & Albonetti, C. (1982). Race, class, and the perception of criminal injustice in America.American journal of sociology,88(2), 329-355. [https://doi.org/10.1086/227674]
  • King, Michael. (2023). The framework of criminal justice. Routledge. [https://doi.org/10.4324/9781003361534]
  • Melgar, N., Rossi, M., & Smith, T. W. (2010). The perception ofcorrup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Opinion Research,22(1), 120-131. [https://doi.org/10.1093/ijpor/edp058]
  • Sherman, L. W. (1993). Defiance, deterrence, and irrelevance: A theory of the criminal sanction. Journal of research in Crime and Delinquency, 30(4), 445-473. [https://doi.org/10.1177/0022427893030004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