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의 인사 관련 법규정에 관한 탐색적 연구: 《대전회통》과 《양전편고》 동전(東殿)을 중심으로
초록
조선이라는 국가가 관료제 내부의 인사 관리를 어디까지 수행하였는지 그 인사행정의 기능과 범위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정부와 관료제의 작동 원리라는 행정학적 관점에서 접근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조선의 인사행정과 관련한 규정들이라 할 수 있는 조직과 인사 관련 법 규정들을 현대 인사행정의 체계로 분류하는 분석을 수행하여 조선의 인사행정의 범위를 탐색하였다. 《대전회통(大典會通)》과 이조의 업무편람집인 《양전편고(兩銓便攷)》 동전(東殿) 조문별로 인사관련 조목들을 그 내용에 따라 인사행정의 주요 기능인 충원, 능력계발, 동기관리, 평가, 보상에 해당하도록 범주화한 결과, 우선 인사행정의 다섯 가지 세부기능 및 조직 구조에 해당하지 않는 조목은 확인되지 않아 조선의 인사행정의 범위가 현대의 인사행정 기능의 범위와 크게 다르지 않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인사의 모집과 선발 등을 수행하는 충원 기능에 대한 조목이 가장 많은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인사 임용의 과정의 관직별 후보자 추천 및 임용 업무 규정이 가장 많은 것이 확인되었다. 즉 중앙인사기관으로서 이조에게 추천 과정을 관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업무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관원 개개인의 경력관리 차원의 인사이동이라는 측면보다, 개별 관직별로 후보자를 추천하고 검증한 결과의 관직별 임용의 차원으로 이해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검증 및 추천을 위해 인사고과 및 기록관리가 이루어졌다는 점도 주목할만하다.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the scope of personnel administration in the Chosǒn Dynasty by conducting an analysis that classified the organizational and personnel-related laws and regulations, which can be said to be regulations related to personnel administration, into a modern personnel administration system. First of all, no items were identified that did not correspond to the five detailed functions and organizational structures of personnel administration, confirming that the scope of personnel administration in Chosǒn was not much different from the scope of modern personnel administration functions. However, the most common item was the personnel recruitment function, and in particular, the regulations for recommending candidates for each position and the appointment process.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the most important task of the central personnel agency was managing the recommendation process. It is also noteworthy that personnel records and records management were conducted for such verification and recommendations.
Keywords:
personnel administration, chosǒn dynasty키워드:
조선, 인사행정, 이조(吏曹), 양전편고, 대전회통References
- 강성득. (2009). 17~18세기 승정원 주서직의 인사실태. 「한국학논총」. 31: 273-305.
- 김렬. (2015). 조선전기 관료의 임기제: 주요 내용 및 운영 실태. 「지방정부연구」. 18(4): 171-188.
- 김렬. (2017). 조선시대 관료의 승진 실태: 6품 승진(승륙)의 기준 및 요인. 「한국행정논집」. 29(4): 637-657.
- 김백철. (2007). 조선후기 숙종대 「수교집록」 편찬과 그 성격 – 체재분석을 중심으로. 「방학지동」. 140: 131-194.
- 김백철. (2008). 조선후기 영조대 법전정비와 속대전의 편찬. 「역사와 현실」. 68: 189-236.
- 김병원. (2003). 조선조 전랑 연구. 「지방정부연구.」 7(2): 241-261.
- 김운태. (1995). 「조선왕조정치・행정사 (근세편)」. 박영사.
- 김일환. (2007). 조선건국시기 법전편찬과정의 의의와 특징에 관한 헌법적 고찰. 「성균관법학」 19(3): 147-174.
- 김창현. (1996). 「조선초기 문과급제자의 출신배경과 진출에 관한 연구」. 한양대 박사학위논문.
- 김창현. (1997). 조선초기 문과급제자의 출신 배경. 「역사학보」. 155: 25-60.
- 김창현. (1999). 「조선초기 문과급제자 연구」. 일조각.
- 김형승. (1969). 「조선왕조의 입법과정에 관한 연구」. 법제처.
- 남지대. (1992a). 조선초기 산계[관품]의 구조와 기능. 「한국문화」.13: 283-358.
- 남지대. (1992b). 조선 후기의 당쟁과 청요직, 이성무 외. 「조선후기 당쟁의 종합적 검토」. 한국정신문화연구원. pp. 447-466.
- 박병련. (1991). 「조선조 유교관료제의 성격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행정학 박사학위논문.
- 박병련. (2017). 「한국정치・행정의 역사와 유교 – 유교관료제의 형성과 유자관료」. 태학사.
- 박천오・권경득・권용수・조경호・조성한・최성주. (2017). 「인사행정론」. 법문사
- 박현순. (2023). 조선후기 文科親臨試의 채점・선발법. 「사학연구」. 152: 123-165.
- 박홍갑. (1995). 조선초기 문과급제자의 분관과 진출. 「사학연구」. 50.
- 법제처 편. (1978). 「양전편고」. 법제처.
- 송웅섭. (2017). 조선 전기 청요직(淸要職)의 위상과 인사이동 양상. 「한국사상사학」. 55: 1-47.
- 송찬식. (1978). 조선조 사림정치의 권력구조 – 전랑과 삼사를 중심으로. 「경제사학」. 2: 120-140.
- 서민주. (2021). 정조대(正祖代) 승지직(承旨職) 운영과 승정원(承政院)의 정비. 「한국사연구」. 194: 269-319.
- 심재우. (2013). 조선시대의 법과 여성의 몸: 여성 처벌 규정을 중심으로: 여성 처벌 규정을 중심으로. 「역사와 실학」. 51: 147-179
- 윤견수. (2011). 한국행정학의 영역 찾기: 공직과 자리 개념의 재발견. 「한국행정학보」. 45(1): 1-22.
- 오석홍. (2000). 「인사행정론」. 박영사
- 오수창. (2000). 양전편고 해제. 서울대학교규장각 편. 「규장각자료총서 법전편 兩銓便攷・銀臺條例」. 서울대학교규장각.
- 오준근. (2006). 행정조직・인사개혁의 법적 과제. 「공법연구」. 35(1): 1-20.
- 오항녕. (2010). 「조선의 힘」. 역사비평사.
- 원창애. (1997). 「조선시대 문과급제자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원창애. (2003). 문과 급제자의 전력 분석. 성고이성무교수정년기념논총간행위원회 편 (2003). 「조선시대의 과거와 벼슬」. 집문당.
- 원창애. (2011). 조선시대 예문관 분관 실태와 한림의 관직 승진 양상. 「조선시대사학보」. 57: 207-241.
- 이강욱 역. (2023). 「조선조 승정원의 업무규정집 – 은대조례」. 한국고전번역원.
- 이근호. (2009). 조선시대 이조전랑의 인사 실태. 「한국학논총」. 31: 179-207.
- 이기원. (2008). 조선시대 관상감의 직제 및 시험 제도에 관한 연구: 천문학 부서를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29(1): 98-115.
- 이병량. (2002). 조선초 관료제의 근대성에 관한 연구. 「정부학연구」. 8(1): 239-273.
- 이성무. (1990). 경국대전의 편찬과 대명률. 「역사학보」. 125: 85-106.
- 이성무. (2004). 「한국의 과거제도」. 한국학술정보.
- 이원명. (2004a). 「조선시대 문과급제자 연구」. 국학자료원
- 이원명. (2004b). 조선조 ‘주요성관’ 문과급제자 성관 분석. 「사학연구」. 73: 93-131.
- 이지훈. (2016). 조선 초기 순자법의 정비와 운영. 「역사학보」. 229: 37-84.
- 이창걸. (2009). 조선시대 문과급제자의 분관실태에 관한 연구 – 1623년~1720년 시기를 중심으로. 「한국학논총」. 31: 307-348.
- 임도빈・유민봉. (2019). 「인사행정론: 정부경쟁력의 관점에서」. 박영사.
- 임민혁. (2005). 조선초기 해유제(解由制)의 성립과 그 성격. 「조선시대사학보」. 33: 5-37.
- 임용한. (2008). 「조선전기 관리등용제도 연구」. 혜안
- 임한솔. (2024). 조선시대 육조거리 중앙관아의 관청 의례와 건축 공간 - 법전과 관서지에 기록된 좌기 의례를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40(5): 107-118.
- 장유승. (2012). 해제(解題) - 조선조 승정원의 업무 지침서. 이강욱 옮김. 「은대조례」. 한국고전번역원. pp. 7-19.
- 정구복. (2012). 고문서 용서풀이 - ‘해유문서’. 「고문서연구」. 40: 213-233.
- 정구선. (2007). 「한국 중세의 천거제도」. 서경문화사.
- 정긍식. (2001). 대전회통의 편찬과 그 의미. 「서울대학교 법학」. 41(4): 321-345.
- 정긍식. (2001). 조선시대의 권력분립과 법치주의 – 그 시론적 고찰. 「서울대학교 법학」. 42(4): 27-65.
- 정만조. (2009). 조선시대 삼공의 관력분석. 「한국학논총」. 31: 123-155.
- 정봉길. (2014). 조선시대 법전을 통해 본 행형의인본주의적 성격. 「교정담론」. 8(2): 63-94.
- 정지영. (2013). 조선시대 ‘가장’의 지위와 책임: 법전의 규정을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25(1): 121-149.
- 정해은・박경・이정란. (2010). 고려・조선시대 법운용의 실제와 대명률. 「역사와 현실」. 75: 15-25.
- 조두순 외 저, 한국법제연구원 역. (2000). 「대전회통」. 한국법제연구원.
- 조석준. (1980). 한국행정에서의 사람에 관한 의사결정(인사결정)의 동태. 「행정논총」. 18(1): 248-270.
- 조좌호. (1996). 한국 과거제도사 연구. 범우사.
- 차미희. (1998). 16세기 문과급제자의 초직 규정 변화 – 문음 출신의 참상관직을 중심으로. 「한국학연구」. 103.
- 차세영. (2018). 조선의 인사임용제도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유교적 실적주의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차장섭. (1994). 조선후기 문과급제자의 성분. 「대구사학」. 47: 101-165.
- 최승희. (1978). 홍문록고. 「대구사학」. 15, 16.
- 최이돈. (1994). 중종조 사림의 낭관 정치력 강화과정. 「조선중기 사림정치구조연구」. 일조각.
- 한국법제연구원 역주. (2000). 『대전회통』. 한국법제연구원.
- 한상권. (1994). 조선시대 법전 편찬의 흐름과 각종 법률서의 성격. 「역사와 현실」. 302-320.
- 한충희. (1990). 朝鮮初期 六曹正郞・佐郞의 官人的 地位: 그 歷官과 機能의 分析을 중심으로. 「한국학논집」. 17: 141-178.
- 한충희. (1996). 조선초기 육조참의연구. 「한국학논집」. 23: 61-103.
- 한충희. (2001a). 조선초기(朝鮮初期) 륙조속아문연구(六曹屬衙門硏究) 1 -관원(官員)의 성분(性分), 관력(官歷)과 관직(官職)의 지위(地位)를 중심으로-. 「조선사연구」. 10: 1-38.
- 한충희. (2001b). 조선초기(朝鮮初期) 륙조속아문연구(六曹屬衙門硏究) 2 – 관직의 정비를 중심으로. 「계명사학」. 12: 43-81.
- 한충희. (2004). 조선초기 정3~정6품 청요직연구. 「조선사연구」. 13: 49-77.
- 한충희. (2007). 조선초기 의정부당상관 연구. 「대구사학」. 87: 1-31.
- 한충희. (2010). 朝鮮中期 議政府堂上官 硏究. 「한국학논집」. 41: 179-214.
- 함재학. (2004). 『경국대전』이 조선의 헌법인가? 「법철학연구」. 7(2): 263-288.
- 홍순민. (1998). 조선후기 법전 편찬의 추이와 정치운영의 변동. 「한국문화」. 21: 165-205.
-
Elo, S., Kyngäs, H. (2008).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proces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2(1): 107-115.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7.04569.x]
- Hejtmanek, Milan. (2013). Rationalism and ‘Modernity’ in the State Examination System of Choson Korea: an Analysis of Munkwa Examination Roasters, 1545-1720. 「정부학연구」. 19(3): 41-67
- Krippendoorff, K. (2004). Content analysis: An introduction to its methodology. Beverly Hills, CA: Sage.
-
Woodside, Alexander (2006). Lost Modernities: China, Vietnam, Korea, and the Hazards of World History. Havard University Press.
[https://doi.org/10.4159/9780674045347]